해킹의 정의와 역사

해킹의 어원과 기원

‘해킹(hacking)’이라는 용어는 원래 기술적으로 창의적이고 기발한 문제 해결을 뜻하는 긍정적인 의미에서 출발했습니다. 특히 1960년대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철도 모델링 동아리에서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도전을 “해킹”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이 시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컴퓨터 시스템에 무단으로 침입하거나 정보를 탈취하는 행위가 늘어나며 해킹은 점차 부정적인 이미지로 변질되었습니다.

해킹의 발전과 변화

  • 1970~1980년대: 전화망 시스템을 조작하던 ‘프리킹(Phreaking)’이 주류였으며, 컴퓨터 해킹은 소수 기술자들의 영역이었습니다.
  • 1990년대: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네트워크 침입 사례가 증가하였고,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해커 그룹(예: Anonymous)이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 2000년대 이후: 사이버보안이 산업 전반에 중요해지며 ‘윤리적 해킹(Ethical Hacking)’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해커의 유형과 의도에 따른 분류

1. 화이트햇 해커 (White Hat Hacker)

화이트햇 해커는 법적인 절차에 따라 시스템의 취약점을 진단하고 보안성을 강화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들은 종종 보안 회사나 기업에 고용되어 네트워크 보안 진단 및 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 대표 예시: 윤리적 해커, 보안 컨설턴트, 레드팀 전문가

2. 블랙햇 해커 (Black Hat Hacker)

이들은 불법적인 목적으로 시스템에 침투하고 데이터를 탈취하거나 파괴하는 해커입니다. 사이버 범죄자의 전형적인 형태이며, 법적으로 처벌 대상입니다.

3. 그레이햇 해커 (Gray Hat Hacker)

화이트햇과 블랙햇의 중간 성격을 지니며, 종종 시스템을 무단으로 침입하되 피해를 주지 않고 발견한 취약점을 공개하거나 업체에 알리는 행위를 합니다. 윤리적 기준에 따라 행위가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4. 그 외의 해커 유형

  • 그린햇 해커: 초보자이지만 윤리적 해커가 되기 위해 학습 중인 인물
  • 레드햇 해커: 블랙햇 해커를 공격적으로 추적하여 무력화하는 활동가 성격
  • 엘리트 해커(Elite Hacker): 정교하고 고난도의 기술을 사용하는 상위 1% 해커

윤리적 해킹의 개념과 중요성

윤리적 해킹이란?

윤리적 해킹은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공격자보다 먼저 발견하여 개선하는 합법적 테스트 활동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안 감사(Security Audit), 침투 테스트(Penetration Testing), 취약점 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법적 기반과 인증 제도

윤리적 해킹은 법적 허가 하에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증 제도들이 존재합니다:

  • CEH (Certified Ethical Hacker): EC-Council에서 발급
  • OSCP (Offensive Security Certified Professional): 실무 중심의 침투 테스트 인증
  • CPT (Certified Penetration Tester): 취약점 분석 및 테스트 능력 인증

기업과 정부에서의 활용

  • 기업 보안팀: 신제품 출시 전 침투 테스트
  • 금융권: 보안 위협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응 프로세스 개선
  • 공공기관: 사이버 공격에 대한 국가 차원의 방어 체계 강화

윤리적 해킹 절차 및 도구

윤리적 해킹의 절차

  1. 정보 수집 (Reconnaissance)
    대상 시스템의 IP, 도메인, 기술 스택, 열려있는 포트 등을 조사합니다.
    • 도구 예: Nmap, Shodan
  2. 스캐닝 (Scanning)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취약한 포트나 서비스 탐지
    • 도구 예: Nessus, OpenVAS
  3. 취약점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스캐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소 판별
    • 도구 예: Nikto, Burp Suite
  4. 침투 시도 (Exploitation)
    식별된 취약점을 이용해 시스템에 침입을 시도 (모의 공격 단계)
    • 도구 예: Metasploit
  5. 보고서 작성 (Reporting)
    발견된 보안 문제와 개선 방안을 정리한 문서 작성
    → 이후 보안팀이 실제 패치나 대응 진행

대표적인 해킹 도구 소개

도구명용도특징
Metasploit모의 해킹 플랫폼다양한 취약점 자동화
Nmap네트워크 스캐닝포트 및 서비스 식별
Burp Suite웹 보안 테스트프록시 기반 분석
Wireshark패킷 분석트래픽 캡처 가능
John the Ripper암호 해독강력한 패스워드 크래킹

윤리적 해커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 및 커리어 경로


윤리적 해커가 되려면 필요한 기술 역량

윤리적 해커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컴퓨터 사용 능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보안 시스템의 구조, 네트워크 동작 방식, 운영체제의 내부 메커니즘 등 심화된 기술 지식과 함께 실무 중심의 실습 경험이 요구됩니다. 다음은 윤리적 해커에게 필수적인 기술 영역입니다:

  1.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해 (TCP/IP, UDP, DNS, DHCP 등)
  2. 운영체제 보안 (Windows, Linux의 권한 구조 및 로그 분석)
  3.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XSS, SQL Injection 등 OWASP Top 10 취약점)
  4. 스크립트 언어 및 자동화 (Python, Bash 등)
  5. 침투 테스트 툴 사용 능력 (Kali Linux, Burp Suite, Metasploit 등)

이 외에도 시스템 관리자 수준의 시스템 구성 및 방화벽 설정, 로그 분석 및 포렌식 처리 능력도 중요합니다.


윤리적 해커가 되는 경로: 입문부터 전문가까지

1. 입문 단계: 기본 지식 습득

  • 네트워크와 컴퓨터 구조에 대한 이해
  • C, Python, Java 등 언어 기초
  • 리눅스/유닉스 명령어 숙달
  • 초급 보안 교육 수강 (예: 무료 해킹랩, TryHackMe, Hack The Box)

2. 중급 단계: 침투 테스트 훈련

  • 실습 기반 교육 프로그램 수강 (e.g. Offensive Security, INE)
  • 가상 환경에서 실전 침투 테스트 연습
  • OWASP 기반 웹 취약점 이해 및 대응법 실습

3. 전문가 단계: 국제 자격증 취득 및 실무 경험 축적

  • CEH (Certified Ethical Hacker)
  • OSCP (Offensive Security Certified Professional)
  • CISSP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rofessional)
  • PNPT, GIAC 등 고급 자격 취득

윤리적 해커로서의 커리어 경로

경력 단계주요 직무연봉 예시 (2025년 기준 추정)
초급 (1~2년)보안 분석가, 취약점 리포터약 3,500만 원 ~ 5,000만 원
중급 (3~5년)침투 테스트 전문가, 레드팀 운영자약 5,500만 원 ~ 8,000만 원
고급 (6년 이상)보안 컨설턴트, 보안 아키텍트약 8,500만 원 ~ 1억 2,000만 원 이상

대부분의 윤리적 해커는 보안 솔루션 기업, 금융권, 공공기관, IT 대기업, 또는 보안 스타트업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에서는 재택 기반의 국제 프로젝트 참여 기회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해킹과 법적 책임: 국내외 법률 정리


대한민국의 사이버 범죄 관련 법률

윤리적 해킹은 반드시 법적 허용 하에서만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벗어날 경우 형사 처벌 대상이 됩니다. 대표적인 관련 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불법적인 시스템 침입, 정보 탈취, 악성코드 유포 금지
  2. 형법 제314조 (업무방해죄)
    • 시스템 과부하, 서비스 마비 행위도 형사처벌 대상
  3. 전자금융거래법 제6조~7조
    • 무단 접근이나 금융정보 탈취 시 강력한 처벌 조항 포함
  4. 저작권법, 개인정보보호법, 국가보안법
    • 민감한 데이터 처리에 관한 추가 규제 적용

✅ 윤리적 해커는 사전 동의서, 계약서, NDA(비밀 유지 계약)를 반드시 구비한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며, 모의 침투도구 사용 또한 기록되어야 합니다.


국제 법률과 규제 동향

미국

  • Computer Fraud and Abuse Act (CFAA): 불법 해킹 시 징역형 또는 벌금 부과
  • HIPAA, GLBA 등 분야별 보안 규정에 따라 의료 및 금융 보안 기준 제시

유럽 연합 (EU)

  • GDPR(일반개인정보보호법): 개인 정보 보안 위반 시 막대한 과징금 부과
  • NIS Directive: 필수 인프라 보안 의무화

국제 협력체

  • 부다페스트 협약: 사이버 범죄 대응을 위한 최초의 국제조약
  • FIRST, ISO/IEC 27001 등 보안 표준 기구와 협력하여 윤리적 해킹 활동의 기준 마련

해킹과 보안의 미래 기술 동향

인공지능(AI)과 해킹의 융합

AI 기술은 양면적입니다. 해커는 AI를 활용해 자동화된 공격(예: 악성 이메일 생성, 패턴 분석) 수행 가능하고, 보안팀은 AI를 통해 이상 행위 탐지 및 자동화 대응이 가능해집니다.

  • 예: ChatGPT 기반 사회공학 공격 시뮬레이션
  • 자동화된 침투 테스트 프레임워크의 등장

사물인터넷(IoT) 보안

IoT 기기의 수가 폭증함에 따라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홈 기기, CCTV, 헬스케어 기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해킹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보안 대책이 요구됩니다:

  • 펌웨어 보안 강화
  • 네트워크 격리 및 트래픽 모니터링
  • 인증 강화 및 OTA(Over The Air) 보안

양자 보안(Quantum Security)

기존 암호화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의 등장이 가시화되며, 포스트-양자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 관련 기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 PQC 후보군 평가 진행 중


윤리적 해킹 학습을 위한 교육 과정 및 자격증 비교


입문자를 위한 교육 플랫폼 비교

윤리적 해커가 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실습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 플랫폼은 매우 다양합니다. 특히 온라인 학습 플랫폼에서는 합법적인 해킹 실습 환경을 제공하며, 학습 경로에 따라 초급부터 고급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학습 난이도실습 제공인증 여부특징
TryHackMe초급~중급OO (랩 완료 인증서)실습 중심의 게임형 학습
Hack The Box중급~고급OO (랩 뱃지 제공)실전 환경 유사
Udemy초급~고급X (영상 중심)일부 과정 수료증이론 강의 위주
Offensive Security (OSCP)고급OO (국제 자격증)침투 테스트 전문가용
INE중급~고급OO커리어 인증 포함 패키지 제공

학습 추천 경로

  1. 입문자: TryHackMe → OWASP 학습 → 간단한 CTF 참여
  2. 중급자: Hack The Box → Linux, Web, Reverse Engineering 실습
  3. 전문가: OSCP 준비 및 실전 침투 테스트 프로젝트 수행

주요 윤리적 해킹 자격증 비교 분석

자격증발급 기관시험 방식특징비용(USD 기준)
CEHEC-Council객관식 이론기업 입사 기준으로 활용약 $1,199
OSCPOffensive Security실습 기반침투 테스트 실무 중심약 $1,499
CISSPISC²이론 + 사례보안 정책 전문가용약 $749
CompTIA Security+CompTIA객관식기초 보안 지식 평가약 $392
PNPTTCM Security실습 기반합리적 비용, 실무형약 $299

⚠ CEH는 HR 관점에서 인지도가 높고, OSCP는 실무 능력을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자격입니다.


케이스 스터디: 윤리적 해킹의 실제 적용 사례


사례 1: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SQL 인젝션 취약점 제거

한 글로벌 쇼핑몰 업체는 외부 윤리적 해커에게 사이트 취약점 진단을 의뢰했습니다. 해커는 로그인 페이지에서 SQL 인젝션을 발견하여 관리자 계정 탈취 가능성을 보고하였고, 사이트는 즉시 대응 패치를 적용했습니다.

결과:

  • 고객 데이터 유출 사전 방지
  • CVE(공식 취약점 목록) 등재
  • 해커에게 2,000달러 버그바운티 지급

사례 2: 은행 시스템의 내부 권한 상승 취약점

금융 보안 컨설팅 중, 윤리적 해커는 관리자 페이지에서 취약한 세션 토큰으로 인해 일반 직원도 권한 상승이 가능한 점을 확인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내부 접근자가 민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높았습니다.

조치 결과:

  • 토큰 재설계 및 2차 인증 도입
  • 보안 감사 강화 조치 권고
  • 해커에게 윤리적 리포트 인증서 제공

사례 3: 스타트업 서버의 오픈 포트 취약성

한 스타트업은 AWS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아 포트 22번(SSH)이 전 세계에 오픈된 상태였습니다. 윤리적 해커는 이 문제를 사전에 발견하여 비밀번호 무차별 대입 가능성을 방지했고, 이후 포트 폐쇄와 방화벽 설정이 즉시 진행되었습니다.


윤리적 해커의 실제 인터뷰 요약

인터뷰 1: 한국의 화이트햇 해커 A씨

“윤리적 해커가 된다는 건 단순한 기술자가 아닌 사회적 책임을 가진 기술 감시자가 된다는 뜻입니다. 해킹은 도구일 뿐, 어떻게 쓰는지가 핵심입니다.”

  • 비전공 출신, 독학으로 TryHackMe 랩 100% 완료
  • 현재 중소기업 보안팀에서 침투 테스트 담당
  • 야간에는 실습을 통한 CTF 활동 지속

인터뷰 2: 글로벌 보안 컨설턴트 B씨

“OSCP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했던 건 문서화 능력과 논리적 사고였습니다.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전달력과 책임감이 윤리적 해커의 자질입니다.”

  • 다국적 기업 보안 자문 활동 중
  • 유럽 GDPR 감사 프로젝트 경험
  • 하루 3시간 이상 CTF 실습 및 학습 유지

보안 커뮤니티 및 실습 환경 안내

커뮤니티 추천

  • Reddit /r/netsec – 최신 보안 이슈 공유
  • Discord: Infosec Prep – 자격증 준비 전용 커뮤니티
  • Slack: Bugcrowd – 버그바운티 참여자 중심
  • 해킹캠프 (국내) – 오프라인 기반 윤리 해커 네트워크

실습 플랫폼 요약

이름특징추천 대상
TryHackMe가이드 제공 + 문제 풀이초급 ~ 중급
Hack The Box실전 기반 CTF 환경중급 ~ 고급
VulnHub무료 머신 다운로드로컬 연습용
CTFtime글로벌 대회 캘린더실전 경험 쌓기용

윤리적 해킹의 실무 적용과 조직 내 역할


조직 내에서 윤리적 해커가 수행하는 주요 업무

윤리적 해커는 단순히 침투 테스트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전반적인 보안 체계 수립과 유지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안 진단 및 취약점 분석
    • 정기적인 시스템 진단 및 보안 리포트 작성
    • 오픈 소스, 내부 시스템, 클라우드 인프라 등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점검
  2. 침투 테스트 (Penetration Testing)
    • 기업 내부 시스템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모의 해킹
    • 테스트 후 기술적 리포트 및 경영진 보고서 작성
  3. 보안 사고 대응 및 포렌식
    • 침입 흔적 분석 및 원인 추적
    • 이상 징후 대응을 위한 로그 분석 및 포렌식 보고
  4. 보안 교육 및 인식 제고
    • 전사 보안 교육 콘텐츠 제작 및 사내 강의
    • 피싱 훈련 캠페인 설계 및 결과 분석
  5. 보안 정책 수립 및 검토
    • 사내 보안 가이드라인 설계 및 업데이트
    • 보안 도구 도입 평가 및 적용 전략 수립

📌 윤리적 해커는 기술력 외에도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서화 역량, 협업 스킬이 중요시되는 역할입니다.


기업 내 윤리적 해킹 팀 구성 예시

대기업 또는 금융기관에서는 독립적인 보안 조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구조로 윤리적 해커들이 배치됩니다:

팀 구분주요 역할구성 예
레드팀 (Red Team)공격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윤리적 해커, 공격자 역할
블루팀 (Blue Team)방어 및 탐지보안 엔지니어, SIEM 운영자
퍼플팀 (Purple Team)레드팀/블루팀 협업 중재전략기획, 테스트 관리자

윤리적 해킹의 윤리 기준과 국제적 코드

윤리적 해커가 지켜야 할 윤리 원칙

윤리적 해킹은 이름 그대로 윤리(Ethics)에 기반한 기술 활동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원칙이 강조됩니다:

  1. 허가된 범위 내에서만 테스트 진행
    • 시스템 접근, 도구 사용 모두 사전 계약 필수
  2. 기밀 유지 원칙
    • 취약점 정보, 시스템 구조 등 모든 정보는 NDA 하에 보호
  3. 정보 공개의 책임성
    • 취약점 공개는 책임 있는 시점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함
  4. 사용자 피해 방지
    • 실습 중 시스템 다운, 데이터 훼손 등 실질적 피해가 없어야 함
  5. 중립성 유지
    • 정치적, 사회적 목적을 위한 해킹은 지양해야 함

대표적인 국제 윤리 강령

  • EC-Council의 윤리적 해커 강령
    • 수강생 및 인증 보유자는 고의적 침해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을 서약
  • (ISC)² Code of Ethics
    • 신뢰성, 책임, 공정성, 성실성 네 가지 기준을 기본 윤리로 설정
  • Hacker Manifesto (1986)
    • 기술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과 공유 정신 강조

윤리적 해킹의 사회적 가치와 공익적 역할

공공의 보안 강화를 위한 윤리적 해커의 기여

윤리적 해커는 단지 사기업의 보안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안전한 정보 환경 구축에도 기여합니다.

주요 기여 사례:

  • 정부 시스템 침투 테스트 참여
  • 의료 시스템 보안 취약점 보고
  • 코로나19 관련 악성앱 추적 지원
  • 다크웹 상 아동 성착취 콘텐츠 제보

이러한 공익 활동은 종종 비영리 보안 단체, 해킹캠프, 국제 NGO를 통해 진행됩니다.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보안 강화

많은 글로벌 기업과 정부 기관은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윤리적 해커의 보안 기여를 장려합니다.

플랫폼참여 대상특징
HackerOne글로벌 해커 누구나기업·공공기관 대상
Bugcrowd인증 해커 우대정기적인 보안 콘테스트
ZDI (Zero Day Initiative)고급 해커CVE 등록 지원
KISA 취약점 신고센터국내 보안 전문가국내 인증 시스템 연계

✅ Google, Microsoft, Apple 등은 연간 수십억 원 규모의 보상 프로그램 운영 중


해커 문화와 미디어의 왜곡

미디어 속 해커의 이미지 문제

대중 매체에서는 종종 해커를 범죄자, 괴짜, 고독한 천재 등으로 묘사하지만 이는 실상과 거리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오해

  1. 해커는 모두 불법 행위를 한다?
    • ❌ 대부분의 해커는 합법적인 기술 전문가입니다.
  2. 해커는 감정 없이 기계처럼 행동한다?
    • ❌ 실제로는 협업과 윤리 의식이 매우 강한 커뮤니티입니다.
  3. 해커는 시스템을 파괴하고 싶은 사람이다?
    • ❌ 윤리적 해커는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책임감으로 활동합니다.

해커 커뮤니티의 문화적 가치

해커 커뮤니티는 정보 공유, 자율성, 창의성, 반권위주의적 태도를 중요시합니다. 대표적인 해커 문화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Open Source 정신
  • Capture the Flag(CTF) 대회
  • Knowledge Sharing / Mentorship
  • Responsible Disclosure 문화

결론: 해킹은 기술 그 자체보다, ‘목적’이 중요하다

해킹은 단지 시스템을 뚫는 기술이 아니라, 기술을 통해 어떤 가치를 실현하는가가 더 중요합니다.

  • 윤리적 해커는 디지털 세계의 보안 파수꾼이자,
  • 기술과 윤리를 함께 지닌 사회적 전문가입니다.

오늘날 AI, IoT, 클라우드 등 복잡한 기술 환경에서 보안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윤리적 해킹은 단지 선택이 아닌 필수 보안 전략이 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윤리적 해커는 불법인가요?

아닙니다. 윤리적 해커는 기업이나 기관으로부터 정식 허가를 받고,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는 합법적인 보안 전문가입니다.
테스트 범위와 방법은 모두 계약과 동의서(NDA)에 따라 명확하게 설정됩니다.

해킹 기술을 배우면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나요?

기술 자체를 학습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불법이 되는 경우는, 허가 없이 타인의 시스템에 무단 접근하거나 데이터를 훼손하는 경우입니다. 해킹 기술은 합법적인 목적과 환경에서 활용되어야 합니다.

윤리적 해커가 되기 위해 꼭 컴퓨터 공학 전공이어야 하나요?

반드시 전공자일 필요는 없습니다.
비전공자도 네트워크, 운영체제, 보안 기초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습 경험을 쌓는다면 윤리적 해커가 될 수 있습니다.
TryHackMe, Hack The Box 같은 실습 플랫폼을 통해 입문이 가능합니다.

윤리적 해커와 보안 컨설턴트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윤리적 해커는 공격자 관점에서 취약점을 찾아내는 역할이며,
보안 컨설턴트는 정책 설계, 보안 전략 수립 및 교육 중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두 역할은 함께 보안 체계를 강화하는 파트너 관계입니다.

윤리적 해커가 되려면 어떤 자격증이 필요한가요?

입문자는 CEH (Certified Ethical Hacker) 자격증을, 실무 역량 중심의 전문가는 OSCP (Offensive Security Certified Professional)를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추가로 CompTIA Security+, CISSP 등도 보안 업계에서 널리 인정받는 자격입니다.

해킹을 실습해볼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있나요?

예, 있습니다.
TryHackMe, Hack The Box, VulnHub 같은 플랫폼은 실제 시스템을 모의로 해킹하며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합법적인 실습 환경이며,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단계별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윤리적 해커는 어떤 기업에 취업할 수 있나요?

윤리적 해커는 다음과 같은 조직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보안 전문 기업 (시큐리티 벤더)
금융기관 및 카드사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대기업 보안팀 (레드팀 운영)
클라우드/IT 플랫폼 회사
프리랜서 또는 버그바운티 해커

함께보면 좋을 사이버보안 시리즈

Similar Posts